Sign Language Interpreter Test and Training Program
학교 수행 평가로 특정 분야에 전무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 기관 등에 인터뷰를 해야 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주제로 청각 장애인의 언어인 수화와 관련된 기술적인 복지에 대한 질문 입니다.
1) OTT 서비스 같은 영상 콘텐츠에서 자막이나 수어 통역 제공이 부족한 경우가 많은데 청각장애인의 문화·정보 접근권을 보장하기 위한 복지 정책은 어떤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나요?
2) 수화 번역 AI나 수어 학습 보조 시스템 같은 기술이 개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복지 현장에서 실제로 잘 활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들었습니다. 이런 기술들이 복지 서비스로 연계되기 위해 필요한 제도나 지원이 있을까요?
3) 청각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복지 서비스(예: 영상전화 수어 상담, 수어 기반 민원 서비스 등)는 현재 어느 정도까지 구축되어 있고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확대될 계획인지 궁금합니다.
4) 청각 장애인을 위해서 수어 기술 통역에 대한 지원을 하시는 지와 하신다면 어떠한 방법으로 진행 중인지, 어떠한 미래의 발전과 의미를 생각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5) 수어는 공용어로 인정받고 있지만 여전히 수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위한 정보 전달 체계나 복지 접근은 부족하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나 정책 연구가 진행 중인지 궁금합니다.
6) 복지 현장에서 실제 수어 사용자나 장애인 당사자의 의견이 얼마나 정책 수립과 기술 도입에 반영되고 있는지 참여 방식은 어떤지 궁금합니다